아내와 아이들을 사랑하며 자신의 삶에 순응하여 주어진대로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사람에게 그 모든 것을 한꺼번에 잃을 수도 있는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이 닥칩니다. 선택의 결과가 내가 기대하고 바라는 대로 나오리라는 보장도 사실 희박합니다. 그저 고개를 돌려 버리고 모른 척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세상은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선택을 해왔기에 지금까지도 여전히 아름답고 고귀합니다.
버거운 현실과 평화로운 일상
1985년 아일랜드의 한 작은 마을, 곧 다가올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마을사람들이 동네 광장에서 성가를 부르며 아름답게 장식된 커다란 크리스마스트리에 불을 밝히기 위해 모였습니다. 마을 수녀원의 원장 수녀가 무대 위로 올라와 크리스마스트리에 환하게 불을 밝힙니다. 크리스마스트리가 내려다보이는 동네 사람들 가운데 주인공 빌 펄롱만은 온 마을이 오랫동안 외면해 온 비밀과 버거운 현실 탓에 홀로 웃지 못하고 있습니다.
마을에서 석탄 배달 업체를 운영하는 빌 펄롱은 아내 에일린, 사랑스러운 다섯 딸과 함께 평범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는 과거에 홀어머니와 어렵게 남의 집 더부살이를 하였지만, 지역 주민들의 도움으로 성장하였고, 지금의 안정적인 삶과 사업체를 꾸리고 있습니다. 그의 평화로운 일상은 그의 가장 커다란 거래처인 동네 수녀원으로 석탄을 배달하러 갔다가 뜻하지 않게 부서져 내리기 시작합니다.
수녀원 석탄 창고에서 임신한 채 맨발로 떨고 있는 한 소녀를 발견하여 탈출하도록 돕는 대신, 다시 수녀원 안으로 데려다주면서 보게 된, 세탁 중인 소녀들 때문입니다. 빌은 수녀원이 운영하는 기숙학교가 사실은 젊은 소녀들을 세탁 일에 강제 투입하고 그들을 감금한 채 착취하고 유린하면서 커다란 비즈니스로 자리하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아일랜드 실제 역사와 감추어진 비밀
아일랜드 역사에 대해 약간의 상식만 있다면 주인공 빌 역의 킬리안 머피(Cillian Murphy)가 영화 내내 거의 웃음 짓거나 표정 변화를 보이는 일이 없는 이유에 의문을 달지 않을 겁니다. 그가 사는 마을도, 그가 걷는 거리도, 그가 나르는 석탄도 그리고 수녀원 역시도 그의 표정처럼 어둡고 검고 무겁게 내려앉아 있습니다. 부모가 데려와 강제로 집어넣기도 하는 수녀원의 감추어진 비밀, 그러나 공공연하게 모두가 알고 있는 듯 보이는 수녀원 세탁소에 대해서 빌의 아내도, 주변 지인도 부디 모른 척 입 다물고 무시하며 살기를 바랍니다.
가족을 부양하며 다섯 명의 딸을 그 작은 도시에서 키워가야 하는 주인공으로서는 이런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일면 옳아 보입니다. 빌 자신 이야말로 어린 나이에 엄마를 잃었던 고통스러운 과거를 시달리며 퇴근 후에는 매일 석탄 배달로 검게 물든 자신의 양손을 비누와 솔로 미친 듯이 닦기도 합니다. 물론 빌의 어린 시절은 지금 세탁소에 갇혀 감금과 폭행을 당하며 인권을 착취당하는 소녀들과는 다른, 행복했던 기억과 추억도 함께 했던 그런 것입니다.
하지만 빌의 내면, 도덕적인 갈등과 고민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비누로 박박 문질러 닦아 내면 하얀 세면대 물이 검게 변하고 그 물은 간단히 하수구로 내려 보내는 것으로 해결되고 사라집니다. 그러나 현재 자기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회적 불의와 인권 유린에 대해서 자신마저도 입을 다물어야 하는가 하는 갈등은 하수구로 간단히 내려 보낼 수가 없는, 사회적인 책임이며 외면해서도 안 되는 최소한의 인간적인 의무입니다. 수녀원이 지역 사회에 휘두르는 재정적인 힘과 더불어, 교회(수도원)가 갖고 있는 종교적인 권위는 온 마을에 그 어떤 것보다도 강력하고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만일 빌이 수녀원의 운영 방식을 거스르는 그 어떤 행동을 한다면 빌 자신뿐만 아니라, 온 가족의 생계와 아이들의 미래까지 뿌리째 흔들리게 되는 상황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영화의 맨 끝, 빌은 수녀원에서 또 도망쳐 나와 석탄 창고 속에 숨어 있던 소녀를 자신의 작은 집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그 순간에, 처음으로 표정 변화를 보여줍니다. 아마도 그 표정은 이 영화가 궁극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던 아름답고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것이라고 보입니다. 결코 작지도 소소하지도 것(things)으로 쉽사리 이름 지을 수 없는 그런 것들 말입니다.
이처럼 사소하지 않은, 작품 평가
펄롱의 잠 못 이루는 밤은 계속 되었습니다. 불의를 보고 나도 눈을 감을 것인지, 비난과 고난을 받더라도 소녀를 구할 것인지.. 하지만 그는 결국 결심하고 수녀원에서 세라를 데리고 나옵니다. 이처럼 영화의 결말은 펄롱의 큰 용기로 마무리됩니다.
막달레나 세탁소를 문 닫게 하고 수많을 여성을 구해내는 이처럼 사소하지 않은 감동을 우리에게 선사합니다. 내가 만약 저 상황의 펄롱이라면 어땠을까 하고 말입니다.
[ 이전 글 보기 ] '시빌 워' 슈퍼히어로 간의 강렬한 대립, 줄거리 및 평가
'시빌 워' 슈퍼히어로 간의 강렬한 대립, 줄거리 및 평가
'시빌 워: 분열의 시대'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세 번째 단계에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온 작품으로 슈퍼히어로 간의 대립을 중심으로 한 강렬한 드라마를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nnecy123.com
'영화, 라이프, 건강,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로크백 마운틴' 사회적 편견으로 억압된 사랑, 인물 및 작품 평가 (2) | 2025.01.27 |
---|---|
'화이트 로투스' 삶이란 어떠한 것일까, 흥미로운 삶과 인물 이야기 (1) | 2025.01.22 |
'시빌 워' 슈퍼히어로 간의 강렬한 대립, 줄거리 및 평가 (0) | 2025.01.12 |
‘킬러들의 도시’ 인과응보로 넘쳐나는 도시와 살인자들 (0) | 2024.03.16 |
'25시' 배신과 테러리스트, 그리고 마지막에 대하여 (0) | 2024.03.09 |